조수정
품어주는 궁궐, 보드라운 뜰 [ Embracing Palace, Comforting Garden ]
작가노트
하늘을 올려다 바라본 투명한 초록은 소란스러운 마음과 금새 바꿔준다.
눈에 가득 채운 풍경은 휴식이고 위로다.
[품어주는 궁궐. 보드라운 뜰]은 하늘아래 자연속의 이야기로, 모두의 쉼이 있는 궁궐 정원을 포근함으로 담아 함께 쉬어가자고 함이다.
찬란한 도시에서 잘 지켜내 변하지 않은, 오랫동안 그곳에 그대로 있는, 뚝 떨어진 듯한 도시숲을 관찰한다.
피어나고 진 꽃, 새 이파리와 떨어진 잎, 붉게 물든 열매와 날아드는 씨앗, 눈이 쌓인 가지와 줄기, 꽃눈과 잎눈... 고요함 속에서 주의 깊게 지켜볼 수 있도록 속도를 충분히 늦춘다.
왜 그랬을까?
함께 라는 말속의 나 자신은 더 이상 이전의 개인이라는 의미는 아닌것이 되고, 모두가 연결되어있는 하나이고, 그 하나는 자연 자체이기도 하고, 알아차리지 못했던 것들과 조화를 이루는 삶이고, 그 존재의 이유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당연하고도 평범한 진리를 알아차리면서다.
연주하는 바람, 투명한 초록, 재잘대는 물, 춤추는 언덕. 소리나는 공기, 수줍은 풀, 숨은그림 새, 산책의 소리..
궁궐속 자연을 품에 안은 우리 정원은 선조들의 철학과 예지가 담겨있다
그 뜰의 모습을 조용히 바라보고 마음으로 즐기기 위해 우리의 삶 속으로 가져와 본다.
뜰의 나무처럼 단단함과 겸허함 누구나 같은 속도가 아니어도 된다는 유연함을 한그루 모빌에 담아 일상에서 즐긴다.
모빌은 공간에서 느린 움직임으로, 부딪침의 소리로, 반사되는 햇살로 모양을 더한다.
저마다 같아 보이던 나무들은 이름처럼 다 다른 모양새다. 섬세하고 작은 하나 하나의 모습들은 있는 그대로 장신구다.
일상의 공간에서 편안하게 만나는 자연이, 위로와 함께 참다움을 선물하기를 기대하고, 잠시 멈춤으로 살아있는 모든 것에 대한 알아차리기를 바라며, 읽고, 잇는 마음으로 따뜻한 관계를 가지길 전하고자 한다.
artist note
The crystal-clear green that greets me as I look up at the sky calms my restless heart down before I know it. The landscape that fills my eyes, is both a rest and comfort.
[Embracing Palace, Comforting Garden] is a tale in nature beneath the sky, depicting embracing, a warm place and garden to rest together.
I observe a city forest that seems to be unchanged and untouched amidst the dazzling city for long.
Blooming and withering flowers, new and fallen leaves, crimson fruits and fluttering seeds, snow-covered branches and stems, flower buds and leaf buds... Slow down enough to observe carefully in silence.
Why did i do that?
I slow down enough to carefully observe them in serenity.
In the concept of togetherness, I am no longer a mere individual of the past. We are all connected as one, intertwined with nature, in harmony with things unnoticed and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seemingly ordinary truths, the reason of existence.
Playing wind, Transparent green leaves, Murmuring water, Dancing hills, Resonating air, Bashful grass, Hiding birds like a picture puzzle, Sounds of strolling and moving..
Our garden, nestling nature of the palace, reflects the philosophy and foresight of our ancestors. We bring them into our lives to calmly observe the courtyard and savor them in our hearts.
We embody strength, humility and the flexibility that doesn't demand everyone to move at the same pace in a mobile like the trees in the garden in a single mobile piece to enjoy them in our everyday lives.
The mobile adds shape through its slow movements within space, the clinking sounds and reflected sunlight.
Each tree, although appearing similar, has a distinctive shape, just like its name varies. The delicate and individual shapes are ornaments themselves.
May the nature we encounter in our everyday lives offer solace and integrity and may you recognize the beauty in all living things by momentarily pausing and have warm relationships with them.

표정을 품고 있는 나무, 그 하이퍼리얼리티
-내가 월든 호수에 사는 것보다 신과 천국에 더 가까이 갈 수는 없다. 나는 나의 호수의 돌 깔린 기슭이며 그 위를 스쳐가는 산들바람이다. 내 손바닥에는 호수의 물과 모래가 담겨 있으며, 호수의 가장 깊은 곳은 내 생각 드높은 곳에 떠 있다.-
헨리 데이빗 소로우의 명저 <월든>의 서문이다. 여름이 막 무르익어가는 계절에 <품어주는 궁궐, 보드라운 뜰> 전시회의 작가 조수정도 소로우의 이상과 맞닿아 있는 것은 아닐까, 싶다. 소로우의 자연이 ‘월든’ 호수였다면, 조수정에게 자연은 궁궐의 나무로 바뀐 것일 뿐.
조수정이 추구해온 예술의 화두는 ‘사람’이다. 사람의 몸짓과 표정이 빚어내는 찰나를 예리하게 포착함으로 인간을 읽어내는 성찰을 거듭해온 것이 그의 예술관(藝術觀)이다. 사람이 만들어내는 곡선의 움직임을 은, 철, 옥, 석 등의 광물로 극히 단순화시켜 여백의 미와 함께 담백함을 더했다. 이토록 무채색인 듯 보이지만 그가 빚어낸 금속 특유의 자체 발광은 오브제 깊숙이 웅크리고 있다가 은밀한 도발로 행간에 번뜩이곤 한다.
그러한 작가의 예술적 감각은 이번 전시에도 여지없이 그 빛을 발한다. 작품 콘셉트와 구상을 위해 작가는 고궁 뜰에서 사계절을 거닐었다. 옛 궁궐의 고즈넉함 속에 초연함과 무심함으로 붙박인 나무들은 궁궐의 지킴이를 자처하며 세월을 휘감고 있다. 뿌리를 단단히 내리고 가지를 뻗어 올리며 잎과 꽃과 열매로 말간 민낯을 하나씩 드러낸다. 거기, 그곳에 작가의 예리한 감각이 둥지를 튼 것이다.
산딸나무, 팥배나무, 회화나무, 싸리, 히어리, 비술나무, 쪽동백나무…….
불리는 순간 의미로 각인되는 나무 이름이다. 팥을 닮기도 했고, 학자의 나무라고도 하고, 이른 봄에 잎보다 꽃을 먼저 피우기도 하는 그것들은 갖가지 문양으로 천 년 시간을 아우르는 풍모를 지닌 ‘자연’이다.
이름과 의미만큼이나 이파리와 꽃과 열매는 고유의 무늬를 지니고 있다. 사람의 몸짓과 표정이 각각의 인생과 감정을 오롯이 담아내듯이. 사람 오브제를 과단순화 시켰다면 나무 오브제는 디테일과 섬세함의 극치를 보여준다. 작품 재질이 금속과 광물임을 잊힐 만큼 잎새와 꽃과 열매는 실사(實事)를 방불케 할 정도로 선연(鮮然)하다. 만지면 금방이라도 부서질 듯한 연약함과 보드라움이 촉감으로 느껴질 듯하다.
집요한 관찰과 연구를 병행하는 동안, 작가는 숲해설가가 되기에 이른다. 자연을 향한 그의 천착(穿鑿)이 어느 경지에 이르렀는지 짐작할 수 있다. 자연을 투영한 하이퍼리얼리티 모빌 작품과 더불어 작가 특유의 과단순화된 장신구 또한 마침표가 아닌 쉼표의 역할을 톡톡히 하리라 믿는다.
‘사람’이라는 오브제를 필두로 나무와 새, 그리고 ‘자연’으로 나아가는 조수정의 예술적 행보는 사뭇 다른 듯 보여도 근본은 벗어나지 않는다. ‘사람’도 ‘자연’의 일부분이다. 사람은 마땅히 사람다움으로, 자연은 자연스럽게 존재하므로 조화로움을 완성하는 게 아닐는지. 사계절을 품은 나무를 관조(觀照)하는 시선이 지금껏 조수정이 추구해왔던 무채색 세계와 무관하지 않으므로.
완연한 녹색으로 갈아입은 여름의 향연에 싱그러운 바람이 얼핏 스친다.
이파리와 꽃과 열매가 조화롭게 매달린 모빌이 챙그랑, 부딪치자 곧 울림이 된다.
어느덧 우리는 옛 왕궁의 뜨락을 거닐며 천 년의 시간을 버틸 나무의 표정을 가슴에 아로새기고 있을지 모른다.
소설가 이선영 (Lee sun young)
Trees Have Facial Expressions and Hyperreality is in It.
- I cannot come nearer to God and Heaven Than I live to Walden even.
I am its stony shore, And the breeze that passes o'er; In the hollow of my hand are its water and its sand, And its deepest resort Lies high in my thoughts. -
This is an excerpt from the preface of Henry David Thoreau's masterpiece, "Walden." As the midsummer approaches, it seems that Jo Soo-jeong, a artist of the exhibition "Embracing Palace and Comforting Garden" resonates with Thoreau's philosophy. The only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that Thoreau's nature was the Walden Pond while Jo Soo-jeong’s are the trees of the palace.
The artistic pursuit of Jo Soo-jeong revolves around "people." Through keen observations about the fleeting moments created by human gestures and expressions, she has been delving into observing humans in art. She simplifies the curves of human movements into minerals such as silver, iron, jade and stone, adding the aesthetic simplicity. Although seemingly colorless, her sculptures made of metal emit their own unique radiance, mostly hiding under the object yet occasionally flashing with a subtle provocation.
Her artistic sense shines through in this exhibition as well. To conceive the concept and ideas for her works, she spent the four seasons strolling in the palace’s garden. The trees, firmly rooted in the serenity of the old palace, served as guardians of the palace throughout history. Firmly rooted in the ground, they stretch their branches upward, revealing their true faces through their leaves, flowers and fruits. It is where the artist's keen sensibility nestles.
Korean dogwood, Korean mountain ash, Chinese scholar tree, Shrub lespedeza, Korean winter hazel, Siberian elm, Fragrant snowbell.... These are names remembered with their meanings the moment they are spoken. Some resemble beans, are called scholars' trees and blooming flowers before their leaves in early spring. They embody the essence of "nature" that spans a thousand years with various shapes.
Leaves, flowers and fruits of trees possess unique patterns as much as their names and meanings just as human gestures and facial expressions encapsulate individual lives and emotions. Human objects are oversimplified while wooden objects are the epitome of detail and delicacy. The leaves, flowers and fruits are so vivid like actual images that they make you forget that the artwork was made of metal and mineral. They exude a sense of fragility and smoothness that feels as if they could easily break at the touch.
During meticulous observation and research, the artist ends up becoming a forest interpreter. One can notice the extent of her dedication to nature. I truly believe the over-simplified ornaments alongside the hyper-realistic mobile artwork that reflects nature, the artist's signature, plays the role of a punctuation mark, not a period.
Jo Soo-jeong's artistic journey starts with the "human" as the object and moves towards trees, birds and "nature,” which may seem unique, but it sticks to the foundation. Humans are also integral parts of nature. Humans naturally exist with their human nature, and nature exists, with its nature, making each other complete. The gaze that contemplates trees embracing the four seasons is not unrelated to the monochromatic world that Jo Soo-jeong has pursued thus far.
A refreshing breeze lightly brushes through the feast of summer, in a full-fledged shade of green. When a mobile clinks, harmoniously adorned with leaves, flowers and fruits, it creates an echo. Before we know it, we might find ourselves strolling along the garden of an ancient palace, taking the facial expressions of trees that have withstood a thousand years into our hearts.
Author Lee Sun Young
Embracing Palace, Comforting Garden
'북촌 한옥청(聽)' Bukchon Hanokcheong | 2023.6.27.(Tue)~7.2(Sun) | am. 10 – pm 6

















































